Web-Publishing/Issue

웹 호환성(Cross Browsing)

Developer_yun 2021. 6. 8. 01:30

들어가기 전😎😎

마이크로 소프트에선 2021.06.15 부로 인터넷 상에서 IE 브라우저의 지원을 종료한다고 합니다. 

마크업이나 js관련 에러를 풀려고 구글링을 하다 보면, 항상 IE에 대해 대응하는 글과 관련해 여러 비판적인 글들도 종종 보였는데.... 잘된 일인 건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론 개발하기는 좀 더 편해졌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아래 링크의 사이트는 점유율 조사를 하는 사이트인데, 세계 유저들이 사용하는 화면 해상도나,브라우저, 디바이스 등의

점유율을 순차적으로 볼 수 있는 아주 감사한 사이트이다. 

https://gs.statcounter.com/

 

StatCounter Global Stats - Browser, OS, Search Engine including Mobile Usage Share

Tracks the Usage Share of Search Engines, Browsers and Operating Systems including Mobile from over 10 billion monthly page views.

gs.statcounter.com

 

 

해당 사이트에서 아래 사진처럼

2020.05~2021.05 까지, 세계 기준으로 브라우저 점유율을 표로 가져와 봤다.

 

2020.05~2021.05 까지, 세계기준으로 브라우저 점유율

 

대표적인 6순위로 보면

 

- Chrome: 64.73

- Safari: 18.43%

- Edge: 3.37%

- Firefox: 3.36%

- samsung Internet: 3.24%

- opera: 2.31% 

 

 

나는 한국인 이니까 다시 한번, 한국 기준으로 점유율 표를 뽑아봤다.

2020.05~2021.05 까지, 한국기준으로 브라우저 점유율

대표적인 6순위

 

- Chrome: 54.31%

- samsung Internet: 12.69%

- Safari: 12.51%

- Whale Browser: 7.99%

- Edge: 6.32%

- IE: 3.15%

 

아직도...!! IE사용자가 3% 정도가 있다.!!

 

비교해 봤을 때 크게 다른 점은 없지만 삼성의 브라우저도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듯하다. 

 


 

그래서 웹 호환성(Cross Browsing)이란?

이렇게 각기 다른 브라우저 에서는 브라우저 렌더링 엔진이 각각 다르다. 

그래서 css나 js등의 명령어가 다른 경우도 있고, 추가적인 코딩을 붙여줘야 할 때 가 있다.

 

보통 크로스 브라우징의 설명은 

W3C에서 채택된 표준 웹 기술을 적용해 모든 디바이스,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화면이 보여야 한다 라고

많이 설명을 한다. 

 

그리고 '동일한' 보다는 '동등한'에 초점을 두어 설명을 하기도 한다. 

이거에 대한 설명은

 

한국 소프트웨어 진흥원 공개 SW지원센터에서 발간한 것으로 보이는 CSS Browsing 가이드라는 문서

5page - '2.1 Cross Browsing의 정의'에서 발췌했다.

Cross Browsing이란 적어도 표준 웹 기술을 채용하여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기술을 비슷하게 만듦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 최적화되어 치우지지 않도록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제 작하는 기법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지원할 수 없는 다른 웹브라우저를 위한 장치를 구현하여 모든 웹브라우저 사용자가 방문했을 때 정보로서의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방법론적 가이드를 의미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론, 

웹 서비스의 모든 각각의 브라우저의 사용자들이 사이트를 접속했을 때 특정 브라우저를 소외되지 않게 하고,

'똑같이 화면에서 보이게 하는 것' 보단 동등하게 정보를 공유하고 기능을 경험시켜 주는 것이 크로스 브라우징이라고 생각한다.


안녕하세요 신입 웹 퍼블리셔를 준비중인 주니어입니다! 😎😎

글 내용중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지적할 만한 사항은 언제든지 댓글에 적어 주세요! 

감사합니다. 😁